티스토리 뷰
목차
일본은 '철도의 나라'라고 불릴 정도로 철도망이 잘 발달되어 있다. 특히 도쿄 도심의 경우 출퇴근자의 90%가 전철을 이용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본에서 8년간 생활하며 경험한 전철 시스템과 특징을 정리해 보았다.
목차
일본 철도가 발달한 이유
1. 근대화를 위한 철도 정비
메이지유신 이후 일본은 도시 개조와 산업 발전을 위해 철도 정비를 최우선으로 했다. 철도를 통해 물자 수송을 원활히 하고, 교통 인프라를 체계적으로 구축한 것이다.
2. 철도를 중심으로 발전한 도시 구조
일본의 도시는 철도와 역을 중심으로 성장했다. 철도가 놓인 지역에는 인프라가 형성되고, 일자리가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주택가도 조성되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일본은 철도를 이용한 출퇴근 문화가 강하게 자리 잡았다.
일본 전철의 장점
일본 전철의 단점
1. 철도로 어디든 이동 가능
일본의 전철망은 촘촘하게 연결되어 있어 웬만한 지역이라면 전철을 이용해 이동할 수 있다. 디즈니랜드, 온천 여행, 관광지 방문도 전철만으로 가능하다.
2. 깨끗한 환경과 전철 매너
일본 전철 내부는 매우 깨끗하며, 탑승 시 줄을 서서 기다리는 문화가 잘 정착되어 있다. 내리는 사람이 먼저 내린 후 승차하는 기본적인 매너가 잘 지켜지는 편이다.
3. 특급·급행열차 운행
특급과 급행열차를 이용하면 먼 거리를 보다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교외에서 도심으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시스템이다.
4. 정기권 시스템
일본 전철에는 '정기권(定期券)'이라는 제도가 있다. 출퇴근 구간을 설정해 일정 기간(1개월~6개월) 동안 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시즌권 개념이다. 정해진 구간 내에서는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어, 출퇴근뿐만 아니라 주말 나들이에도 유용하다.
일본 전철의 단점
1. 비싼 교통비
일본은 철도가 민영화되어 있어 교통비가 상당히 비싸다. 한국처럼 환승 무료 혜택이 없으며, 한 정거장씩 이동할 때마다 별도의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기본요금이 145엔이라고 하면, 세 정거장을 갈아탈 경우 435엔이 되는 구조다. 이런 이유로 정기권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
2. 출퇴근 시간의 '지옥철'
일본의 출퇴근 시간 전철은 말 그대로 '지옥철'이다. 승객이 너무 많아 문 앞에서 간신히 버티는 사람들이 많고, 이들을 밀어 넣는 '푸시맨'이 배치될 정도로 혼잡하다.
3. 전철 사고와 지연
일본 전철은 자살, 물건 투척, 급정거 등으로 인해 빈번하게 지연된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역이 많지 않아 승강장 안전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4. 날씨로 인한 잦은 지연
일본 전철은 대부분 지상 철도이기 때문에, 비나 눈이 내릴 경우 지연되는 일이 잦다. 가벼운 눈이나 비에도 30분~1시간가량 운행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5. 도로 위 건널목 문제
일본에는 철도가 도로 위를 지나가는 구간이 많다. 이로 인해 건널목이 자주 닫히는데, 출퇴근 시간에는 5~15분씩 도로가 마비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위험을 무릅쓰고 건널목을 건너는 사람들도 있다.
일본 전철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
필자는 한국에서 전철을 자주 이용하지 않았지만, 일본에서는 전철이 필수 교통수단이 되었다. 출퇴근 시간에는 극심한 혼잡으로 힘들지만, 정기권을 활용해 주말마다 새로운 곳을 여행하는 재미도 있다.
전철을 이용해 숨은 맛집을 찾아가고, 새로운 지역을 탐방하는 것도 일본 생활의 큰 즐거움 중 하나다. 일본에서 생활하거나 여행을 계획하는 사람이라면, 전철 시스템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본 전철의 장단점을 정리해 보았는데, 일본 여행이나 생활을 계획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되었으면 한다.
'일본생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패션의 매력, 하라주쿠 & 시모키타자와 구제옷(古着屋) 탐방 (0) | 2023.07.24 |
---|---|
일본에서 반려동물 키우기: 강아지, 고양이 입양 및 구입 방법 (0) | 2023.07.19 |
일본의 무더운 여름과 에어컨 사용법 (0) | 2023.07.13 |
일본 여름 여행: 무더운 날씨와 필수 준비물 (0) | 2023.06.29 |
일본 드러그 스토어 완벽 가이드 (0) | 2023.06.28 |